산술 연산자
이 기사에서는 산술 연산자 에 대하여 다룹니다.
JavaScript에서 사용하는 산술 연산자
Javascript에서는 숫자에 덧셈「+」,뺄셈「-」,곱셈「*」,나눗셈「/」, 나머지「%」등을 하는것이 가능합니다. 각 연산을 할 경우에는 「」안의 연산자를 사용합니다.이번에는 각 연산자의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.
덧셈「+」
덧셈은 2개의 숫자형 변수를 덧셈할때 사용합니다.
사용법 으로는「변수= 숫자+숫자」와「변수+=숫자」의 형태가 있습니다.
참고로 더하는 숫자가 1인 경우에는 “a++” 혹은 “++a” 와 같이 쓰는것이 가능합니다. 이 두개의 차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조건식에 대하여 다룰 때 설명 하겠습니다.
var a = 1 //아래 세개의 식에서 a,b,c의 결과값은 모두 2로 같은값이 나옵니다. var b = a+1 var a += 1 var c = a++
뺄셈「-」
뺄셈은 2개의 숫자형 변수의 뺄셈을 행합니다.
사용법 으로는「변수 = 숫자-숫자」와「변수-=숫자」의 형태가 있습니다.
참고로 빼는 숫자가 1인 경우에는 “a–” 혹은 ”–a” 와같이 쓰는것도 가능합니다. 이 차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조건식에대하여 다룰 때 설명하겠습니다.
var a = 1 //아래 세개의 식에서 a,b,c의 결과값은 모두 0으로 같은 값이 나옵니다. var b = a-1 var a -= 1 var c = a--
곱셈「*」
곱셈은 2개의 숫자형 변수를 곱셈을행합니다.
사용법은 「변수 = 숫자*숫자」와「변수*=숫자」가 있습니다.
var a = 1 //아래의 2개의 식의 결과값은 모두 2로 같습니다. var b = a*2 var a *= 2
나눗셈「/」
나눗셈은2개의 숫자형 변수의 나눗셈을 행합니다.
사용법으로는「변수 = 숫자/숫자」와「변수/=숫자」가 있습니다.
var a=2 //아래 두개의 식은 결과값이 1로 같은 값이 나옵니다. var b = a/2 var a /= 2
나머지「%」
나머지는 2개의 숫자형 변수의 나머지를 구합니다.
사용법으로는「변수=숫자%숫자」와「변수%=숫자」가 있습니다.
var a=3 //아래의 두가지 식은 결과값이 1로 같은값이 나옵니다. var b = a%2 var a%= 2
Web개발 – 처음하는Javascript
- 처음하는 Javascript-(8)- 제어식(완)
- 처음하는 Javascript-(7)-함수
- 처음하는 Javascript-(6)- 비교연산자
- 처음하는 Javascript-(5)-산술연산자
- 처음하는 Javascript-(4)-배열
- 처음하는 Javascript-(3)- 주석
- 처음하는 Javascript-(2)-변수
- 처음하는 Javascript-(1)-프로그래밍 언어